모델 데이터 현황 (모델 개발 참여 농가)
스마트팜 빅데이터 활용 성과
○ 스마트팜 빅데이터 활용 토마토 생산성 모델 개발
- 비닐 온실 환경의 최적관리를 통해 토마토 적정 생육상태 유지 시 생산량 78.8% 증대 (연간 80kg/3.3㎡ → 143kg/3.3㎡) 가능
- 비닐 온실 연평균생산량 : 80kg/3.3㎡ (상위 20% 농가 : 115kg/3.3㎡)
- 유리 온실 연평균생산량 : 110kg/3.3㎡ (상위 20% 농가 : 155kg/3.3㎡)
- 배지는 코코피트 중심으로 사용 중 (85.9%)
- 모델개발 참여농가 주요 품종 : 데이로스, 데프니스, 다볼, TY레드250, TY트러스트 등 6개 (전체 76.1%)
(단위 : kg/3.3㎡)
구 분 | 평 균(농가수) | 하위 20%(농가수) | 상위 20%(농가수) | 상위 10%(농가수) |
---|---|---|---|---|
전 체 | 85.2 (75) | 53.2 (15) | 125.4 (15) | 136.9 (7) |
비 닐 | 80.1 (62) | 52.9 (13) | 115.4 (13) | 123.3 (6) |
유 리 | 109.7 (13) | 62.4 (2) | 154.7 (2) | 164.0 (1) |
데이터 수집과 모델 개발 데이터 현황
빅데이터 수집 현황 | 모델 개발 데이터 |
---|---|
연동온실 데이터 (`16 ~ `19 작기) 113 농가 | 환경·생육·수량 등 양질의 데이터 셋 활용 |
비닐온실 94농가, 유리 19농가, 주로 남부지역에 위치 | 비닐온실 43농가, 유리 8농가, 주로 남부지역에 위치 |
참여농가 지역별 현황
전북 | 전남 | 경남 |
---|---|---|
26 | 14 | 11 |